엄빠로그
close
프로필 배경
프로필 로고

엄빠로그

  • 분류 전체보기 (8)
    • 임신&출산 (3)
    • 육아 초반(0~12개월) (2)
    • 육아 중기(1~5세) (0)
    • 부모 생활&팁 (2)
    • 리뷰 & 추천 (0)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몰라서 못 받는 다자녀 혜택, 지금 신청하세요!

🌟 몰라서 못 받는 다자녀 혜택, 지금 신청하세요!제가 5년 차 다자녀 부모가 되면서 가장 놀랐던 건,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다자녀 혜택이 있는지도 모르고 그냥 지나친다는 것이었어요. 그래서 직접 신청하고 활용해 본 혜택들을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. 지금 당장 확인하고, 우리 가족이 받을 수 있는 지원을 하나도 빠짐없이 챙기세요! 1. 첫만남 이용권 & 임신·출산 진료비 바우처첫만남 이용권: 출생 후 200~300만 원이 국민행복카드에 충전됩니다. 둘째부터 300만 원!임신·출산 진료비 바우처: 태아 1인당 100만 원. 쌍둥이는 200만 원!2. 의료비 지원 (난청검사·미숙아 치료)신생아 난청 검사비 및 치료비, 미숙아 의료비를 일부 또는 전액 지원.둘째부터 신청 시 병원에서 직접 안내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부모 생활&팁
  • · 2025. 8. 24.
  • textsms
초보 부모를 위한 출생신고 Q&A

초보 부모를 위한 출생신고 Q&A

🆕 초보 부모를 위한 출생신고 Q&A첫 아이 출산 후, 정신없이 지나간 순간 중 하나가 바로 '출생신고'였습니다. 저도 처음엔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헤맸지만, 5년 차에 접어들면서 노하우도 쌓였죠. 여기 제가 직접 경험하면서 깨달은 것들을 Q&A 형식으로 정리해봤어요.Q1. 출생신고는 언제, 어디서 하는 걸까요?A: 출생 후 1개월 이내에 완료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 신고 장소는 출생자의 등록기준지, 부모의 주소지 또는 현재 거주지의 동 주민센터, 시·군·구청에서 할 수 있어요. (1개월이 지나면 과태료 대상이 될 수 있어요!)Q2. 신고는 누가 해야 하나요?A: 보통은 부 또는 모가 신고권자입니다. 다만, 부 또는 모가 부재 시에는 동거 친족이나 분만을 도운 의료인이 대신할 수도 있어요. 출생 직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카테고리 없음
  • · 2025. 8. 24.
  • textsms
조리원 퇴소 후, 가정 산후조리 노하우

조리원 퇴소 후, 가정 산후조리 노하우

🏡 조리원 퇴소 후, 가정 산후조리 노하우조리원을 나와 집으로 돌아왔을 때, “이제부터는 혼자서 해야 한다”는 부담이 크게 다가왔어요. 하지만 조금씩 루틴을 만들어가면서 몸과 마음이 다시 안정되는 걸 느꼈습니다. 여기 제가 직접 겪으며 얻은 가정 산후조리 실전 꿀팁을 나눌게요.1. 회복의 기본은 ‘충분한 휴식’입니다신생아 낮잠 시간은 산모가 잠시라도 눈을 붙일 수 있는 시간이에요. 하루 한 번이라도 낮잠을 꼭 함께 자려고 노력했어요.방 청소나 빨래보다 ‘오늘은 쉬기’라는 문장을 마음에 두고 실천하세요. 몸은 쉬고 싶다고 말하지는 않지만, 꼭 필요해요.2. 함께 살아가는 집안 루틴 만들기구매해 둔 반찬을 꺼내기만 해서 먹을수 있게 냉장고에 둬 주고, 냉동반찬도 해동 후 데워 먹을수 있기만 해도 실제로 요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육아 초반(0~12개월)
  • · 2025. 8. 24.
  • textsms
출산 직후, 아빠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?

출산 직후, 아빠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?

👨‍👧 출산 직후, 아빠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?삶에서 가장 감동적이면서도 혼란스러운 순간, ‘출산’이 끝난 바로 그 순간. 아빠라는 새로운 역할이 시작됩니다. 이 글을 통해 출산 직후 아빠가 어떤 역할을 맡고 어떤 실천을 하면 좋을지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.1. 병원과 행정 처리부터 챙기기👨‍👩‍👧‍👦 양가 부모님께 출산 소식 알리기 — 정신없이 지나가기 쉬우니 먼저 알려드리는 게 좋아요.✒ 조리원 또는 산후도우미 연락 — 입소 일정과 준비물 확인을 미리 해두세요. 출산예정일에 맞춰 세팅해 두면 더 편해요.📝 출생신고, 각종 수당 신청 — 출생증명서만 있으면 온라인 또는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. 출산 30일 이내를 넘기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2. 산모와 아기를 돌보는 실전 지원🍼 수유 지원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부모 생활&팁
  • · 2025. 8. 24.
  • textsms
수유 중에도 안심! 출산 후 안전한 영양제 리스트

수유 중에도 안심! 출산 후 안전한 영양제 리스트

🤱 수유 중에도 안심! 출산 후 안전한 영양제 리스트 안녕하세요! 저는 이제 아기 낳은 지 5년차가 된 엄마입니다. 5년 동안 수유를 거쳐 지금까지 달려오며, 꽤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죠. 그래서 오늘은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수유기에도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는 영양제들을 소개해드리려고 해요.제가 수유 중에 유의했던 점은?아기가 모유를 통해 영양제 성분에 노출될 수 있어, **복용 전 반드시 성분과 안전성을 확인**했습니다.병원이나 조산사와 상의하고, **신뢰 있는 브랜드나 인증 받은 제품 위주**로 선택했습니다.처음부터 고용량보다는 **최저 권장량부터 챙기며** 몸 상태를 지켜봤어요.수유 중 안심하고 복용했던 영양제 TOP 5영양제효능권장 복용 시기철분제 (Ferrous Sulfate 계열)빈혈 예방 및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육아 초반(0~12개월)
  • · 2025. 8. 22.
  • textsms
출산 가방 준비 언제부터? 실전 준비 타이밍 공개

출산 가방 준비 언제부터? 실전 준비 타이밍 공개

👜 출산 가방 준비 언제부터? 실전 준비 타이밍 공개출산일이 가까워질수록 설렘도 있지만 막연한 불안감도 커지죠. 진통이 시작되면 정신없이 병원으로 향하게 되기 때문에, 출산 가방은 미리 준비해두는 게 가장 중요해요.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, 출산 가방의 준비 시기와 구성 팁을 알차게 정리해보았습니다! 😊 🎯 왜 출산 가방 준비가 중요할까요?출산 가방은 단순한 여행 짐이 아닙니다. 병원에서의 출산과 회복을 더 안전하고 편안하게 만들기 위한 생존 키트에 가까워요. 막상 진통이 오면 평소처럼 침착하게 짐을 챙기기 어렵기 때문에, 사전 준비는 필수입니다.⏰ 출산 가방 준비 시기28주 (7개월차): 리스트 정리 시작30~32주: 위생용품, 의류 구입33~35주: 출산 가방 구성 완료36주: 가방은 차량 or 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임신&출산
  • · 2025. 8. 22.
  • textsms
  • navigate_before
  • 1
  • 2
  • navigate_next
전체 카테고리
  • 분류 전체보기 (8)
    • 임신&출산 (3)
    • 육아 초반(0~12개월) (2)
    • 육아 중기(1~5세) (0)
    • 부모 생활&팁 (2)
    • 리뷰 & 추천 (0)
최근 글
인기 글
최근 댓글
Copyright ©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.
Designed by JJuum

티스토리툴바